변수
변수: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.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음. >>> a = [1, 2, 3] [1, 2, 3] 값을 가지는 리스트 자료형(객체)이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되고, 변수 a는 [1, 2, 3] 리스트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가리키게 됨 a 변수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주소는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음 >>> id(a) 3404039672 1. 복사: [:] 이용 >>> b = a[:] >>> a[1] = 5 >>> a [1, 5, 3] >>> b [1, 2, 3] 2. 복사: copy 모듈 이용 >>> from copy import copy >>> b = copy(a) >>> b is a False
집합 자료형
>>> s1 = set([1, 2, 3]) >>> s1 {1, 2, 3} >>> s2 = set("Hello") >>> s2 {'e', 'H'. 'l', 'o'} 집합 자료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, 순서가 없다 리스트나 튜플은 순서가 있기 때문에 인덱싱을 통해 자료형의 값을 얻을 수 있지만, set 자료형은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가 없다. 딕셔너리 역시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라 인덱싱을 지원하지 않음 만약 set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한후 해야함 >>> l1 = list(s1) >>> l1[0] 1 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 구하기 >>> s1 = set([1, 2, 3, 4, 5]) >>> s2 = set([4, 5, 6, 7, 8]) >>>..
튜플 자료형
Tuple은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곤 리스트와 거의 유사 리스트와 다른 점은 - 리스트는 []로 둘러싸지만, 튜플은 ()로 둘러싼다. -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, 삭제,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. - 단지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(,)를 반드시 붙여야 함 - 괄호()를 생략해도 무방 t1 = () t2 = (1,) t3 = (1, 2, 3) t4 = 1, 2, 3, 4
리스트 자료형
리스트를 만들 때는 대괄호로 감싸 주고 각 요솟값은 쉼표로 구분 리스트명 = [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]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a[0]이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, a[-1]은 마지막 요솟값 >>> a = [1, 2, 3, 4, 5] >>> a[0:2] [1,2] >>> len(a) 5 >>> a[2] = 4 >>> a [1, 2, 4, 4 ,5] >>> del a[1] >>> a [1, 4, 4, 5] >>> a.append(6) >>> a [1, 4, 4, 5, 6] >>> a = [5, 3, 4, 1] >>> a.sort() >>> a [1, 3, 4, 5] >>> a.reverse() >>> a [5, 4, 3, 1] >>> a.index(4) 1 >>> a.insert(3, 6) [..